ISA 계좌에 대해 알고 계십니까?2022년 기준으로 전체 주식 투자자는 1400만 명을 넘었습니다.
![]()
지난 7월 기준 중개형 ISA 계좌를 개설한 사람은 1/4 수준인 370만 명에 불과하다고 하니 아직도 많은 분들이 놓치고 있는 것 같습니다.
그래서 주식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중개형 ISA의 장단점과 함께 개설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.[의미와 종류]Individual Savings Account의 약자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를 의미하는 ISA는 국민의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금융상품투자절세계좌입니다.
![]()
종류에는 신탁형, 일임형, 중개형이 있는데 오늘 알아보는 것은 국내 상장주식과 다양한 금융상품(펀드, ELS, 채권 등)에 직접 투자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중개형 ISA입니다.
ISA 계좌는 만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개설이 가능하며, ※소득이 있으면 만 15세 이상도 가능 연간 2,000만원씩 납입이 가능하며, 5년간 1억원까지 납입 가능합니다.

금액은 이월이 가능합니다.만약 1년차에 1천만원을 납입했다면 면 2년차에 3천만원까지 한도가 증가합니다.
[어떤 절세 혜택이 있나요?] 1. 비과세 의무가입 기간은 총 3년인데 해당 기간 동안 계좌에서 발생한 이익과 손실을 통산한 후 200만원까지 비과세가 적용됩니다.※ 의무기간 종료 후 연장, 해지, 재가입 가능 배당소득 또는 해외주식 포함 ETF, 원자재 ETF 매매차익에는 15.4%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되지만,

중개형 ISA는 200만원까지 비과세가 적용되므로 200만원 * 15.4% = 308,000원의 절세가 가능합니다.
만약 총급여가 5,000만원 이하이거나 종합소득금액이 3,800만원 이하라면 서민형 중개형 ISA 계좌를 통해 400만원까지 비과세되고 400만원*15.4%=616,000원 절세가 가능합니다.위와 같이 통산 순이익에 대해서만 세금을 냅니다.중개형 ISA 계좌의 장점은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.2. 분리과세 비과세분 초과분에 대해서도 계속 9.9%로 분리과세되므로 투자금액이 커질수록 일반계좌와의 차이가 커집니다.3. 세액공제 현재 연금저축펀드 세액공제 한도는 600만원이며 소득에 따라 13.2~16.5%가 공제됩니다.만약 ISA 계좌 의무가입 기간이 종료된 후 연금저축계좌로 전환하면 300만원 한도에서 납입액의 10%를 추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.[단점이 뭐예요?] 중개형 ISA는 다양한 장점이 있지만 물론 단점도 존재합니다.1.의무기간상에서 언급했듯이 3년이라는 의무가입기간의 존재입니다.그 기간 동안 납입액을 한도로 인출할 수 있지만 수익분은 불가능합니다.또한 인출한다고 해도 납입한도가 복구되지 않습니다.2. 미국 상장주식 투자 불가 국내 상장 미국주식 ETF로 해외종목에 간접투자가 가능하나 미국에 직접 상장된 개별주식 등에 대해서는 투자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[어떻게 개설해요?]? 대부분의 증권사에서 개설 가능합니다.각 증권사 홈페이지에 들어가 ISA 계좌 개설을 메뉴 선택 후 진행할 수 있습니다.개설 이후에는 일반 주식 계좌와 동일한 방식으로 운용이 가능합니다.여기까지 ISA 계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렸습니다.개인적으로 주식투자자라면 반드시 개설해야 하는 금융상품이라고 생각합니다.


